专辑简介:
‘체온이 스민 목소리가 그렇게 노래해주는데, 이보다 멋진 아침이 또 있을까…’ 매일 아침 기꺼이, 새로이 배달된 이 신선한 노래들로 하루를 시작하고 싶은 먼 곳으로부터 도착更多>
‘체온이 스민 목소리가 그렇게 노래해주는데, 이보다 멋진 아침이 또 있을까…’ 매일 아침 기꺼이, 새로이 배달된 이 신선한 노래들로 하루를 시작하고 싶은 먼 곳으로부터 도착한 David Choi 세 번째 앨범 [FOREVER AND EVER].
먼 곳으로부터 도착한 바람이 어깨를 스친다. 계절이 바뀌고 있다는 뜻이다. 가끔 뒤를 돌아보지만 골목은 다시 텅 비어 있고, 하늘은 아무 일 없었다는 듯 맑기만 하다. 이맘때면, 막차에 몸을 싣고 집으로 돌아갈 때나 약속도 없이 거리를 걸을 때, 마음 끝자락이 하릴없이 펄럭인다. 기다리는 소식이라도 있는 사람처럼, 혹은 듣지 못한 대답이라도 있는 사람처럼. 그래서 이런 계절엔, 함께 걸어줄 노래가 간절히 필요하다. 소란스레 동조하지도, 드러내고 위로하지도 않고 다만 보폭을 맞춰 함께 걸어줄 그런 노래가.
데이비드 최의 세 번째 앨범은 꼭 그 무렵 엽서처럼 도착했다. 그를 ‘소개’하기엔 그에 대해 아는 것이 너무 적었으나, 바다를 건너도 식지 않는 온기를 품은 특유의 목소리에만큼은 누구보다 귀 기울여왔기에 선뜻 이 앨범을 받아 들었다. (일찍이 유튜브에서 ‘Grade Three 4/4’ 뮤직비디오를 보고서 나는 그에게 반해버렸다. 목소리와 재능은 타고 날 수 있다. 그러나 그는 무엇보다 그것을 선보이는 방식에서 사람들을 매료시킨다. 보다 화려한 것, 보다 스케일 큰 것을 내세워 앞다투어 시선을 끌려는 소란스런 세상에서 목소리 하나로 진심을 전달하려는 그는 꼭 이 뮤직비디오의 화법을 닮았다.)
그를 설명하는 말들엔 어딘가 드라마틱한 구석이 있다. 2004년 6월, 《10대를 위한 존 레넌 송라이팅 경연대회》에서 ‘Can't Stop Me’라는 제목의 가사로 9000:1의 경쟁률을 뚫고 우승 트로피를 거머쥐었으며, 같은 해 9월 아우디(Audi)가 후원하는 《데이비드 보위 매시업 콘테스트》에 출전해 ‘She'll Drive The Big Car’와 ‘Shake It’를 믹스한 ‘Big Shaken Car’로 대상을 차지했다는 것(이 행사는 데이비드 보위가 직접 대상을 선정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이후 아시아계로서 최초, 또한 최연소로 세계 최대의 퍼블리싱 회사인 워너 채플 뮤직(Wanner Chapple Music)과 계약을 맺고 전속 작곡가로 일했으며, 자신을 위해 곡을 쓰고 싶어 솔로로 독립한 뒤, 어느 늦은 아침 ‘자다 일어난 부스스한 모습으로 컴퓨터 앞에서 즉흥적으로 부른 노래’ 가 유튜브에서 천만 건이라는 기록적인 조회수를 기록했다는 것까지 모두.
그를 일약 스타덤에 오르게 한 이 노래는 ‘YouTube (A Love Song)’으로, 제목 그대로 유튜브를 향한 데이비드만의 러브송이다. “유튜브, 너는 나에 대해 모든 코멘트를 달 수 있어 오~ 유튜브야, 나에게 열정적인 사랑을 줄래?”로 이어지는 재치만점의 귀여운 가사와 데이비드의 매력적인 보컬은 이내 수많은 네티즌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아무런 홍보도 없이 오로지 유튜브와 페이스북만으로 이름을 알린 그는 현재 웬만한 할리우드 스타 부럽지 않은 팬층을 보유하고 있다(그의 유튜브 채널(davidchoimusic) 정기구독자 팬은 90만 명을 넘어섰으며, 채널 조회수는 1200만 건이 넘고, 동영상 조회 수는 무려 1억 건에 이른다). 자신의 노래를 찾는 팬들의 반응에 화답하듯 유튜브를 통해 다양한 커버곡을 선보이던 그이지만, 이제는 그의 노래를 수많은 사람들이 커버곡으로 부르기에 이르렀다.
꿈 같은 일들을 지나왔지만, 그의 목소리는 여전히 담담하다. 3집 앨범을 들고 돌아온 그가 더 반가운 건 그래서다. 리무진이나 꽃마차라도 타고 올 줄 알았던 그는, 어깨에 기타를 메고 산책에서 돌아오듯 자박자박 걸어서 우리 앞에 섰다. 일상의 사소한 행복에 한쪽 눈을 찡그리며 웃다가, 갑자기 시작된 설렘에 커피를 연거푸 몇 잔 마신 것처럼 쿵쾅대다가, 해질 무렵 홀로 낯선 거리를 걷듯 쓸쓸해지기도 하는 감성도 그대로다. 그러니까, 멀리 가버릴 수도 있었던 그는